장마

도서관 입구에서 아이에게 대출카드를 넘겨주며 말한다. 비밀번호는 4321이야. 아빠 이쪽 연속간행물실에 있을테니까 책 빌려서 이리로 와. 녀석은 네, 하고 어린이 열람실로 간다. 손에 잡히는 대로 문예지 한 권을 뽑아들고 자리에 앉는다. 이제 눈이 침침해 표지 글씨도 잘 안보인다. 목차를 빠른 속도로 스캔한다. 녀석이 언제 책 다 빌렸다고 들이 닥칠지 모르니 ‘엑기스’를 골라 읽어야 한다. 신작 시를 앞에서부터 읽어나가기 시작한다. 최승자 때문이다. 최승자 시가 실려 있기 때문이다. 최승자가 58세 구나. 그러나 시가 읽히지 않는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어쩌다 한 구절 눈에 들어온다. 어떤 시는 무슨 말하는지 짐작이 간다. 그뿐이다.

그렇게 시를 한 열다 섯 편 정도 읽었을까. 주머니 속의 전화기가 부르르 떤다. 누구일까. 비 온다고 술 마시자는 전화일까. 아니다. 모르는 번호다. 여보세요? 수화기 너머에 아이의 목소리가 들린다. 아빠, 어디야? 책 다 빌리면 건너 오라니까 웬 전화지? 어차피 열람실 안에서 전화는 받을 수 없으므로 전화기를 든 채 로비로 나선다. 어린이 열람실은 로비 건너 편에 있다. 어린이 열람실 입구에서 녀석이 나랑 전화 통화를 하고 있는 게 보인다. 나는 전화를 끊고 녀석에게 간다. 녀석의 왕방울 만한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하다. 아이는 커뮤니케이션 에러의 대가를 눈물로 치르고 있다.

나는 녀석을 데리고 어린이 열람실로 들어간다. 여기는 뭐가 있나? 서가를 이리저리 다녀본다. 이리오너라, 업고 놀자. (그래, 나 방자전 봤다.) 책도야 많다. 세계 명작은 대충 축약본이고, 왠만한 책은 다 만화화되어 있다. 이쪽저쪽 구석에 책을 읽고 있는 아이들이 보인다. 뭘 읽나 가까이 가서 보면 거개가 만화책이다. 내남할 것 없이 다 만화책만 보고 있다. 책을 몇 권 고른다. 집에 있는 아이들도 볼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만화 메밀꽃 필 무렵, 만화 리바이어던, 만화 삼포 가는 길, 완득이 따위를 빌린다. 돌아보니 녀석은 테이블에 앉아 느긋하게 만화책을 읽고 있다. 가자. 아마 반납일이 다 돼도 아이들은 내가 빌려온 책을 거들떠 보지도 않을 것이다. (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