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가을 날

설명하자면 길다. 토요일, 여차저차 해서 딸과 둘만 남았다. 딸에게 영화를 보여주마 약속했고 보여줬다. 딸은 옆에서 쿡쿡, 킥킥, 웃었다. 나는 저 배우 예쁘네, 저놈아 웃기네, 이 대사 재밌네, 하며, 젊음을 시기했다. 팝콘은 너무 달았다. 고소한 맛을 줄까, 달콤한 맛을 줄까, 영화관 알바가 묻을 때, 인생은 고소하지도 달콤하지도 않으니 쓴 맛을 다오, 라고 내가 머리 속에서 썰렁한 드립을 치는 사이, 딸이 냉큼 달콤한 맛을 달라고 말해 버렸다. 돌이키기엔 너무 늦었다. 딸은 지 콜라 다 마시고 내 콜라까지 뺏어 먹었다.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저녁은 뭘 사줄거냐고 딸이 물었다. 뭐 먹고 싶니? 뷔페! 니가 드디어 정신이 나갔구나. 칼국수! 니가 이제야 정신이 돌아왔구나. 주말 저녁, 도로를 조금 신나게 달려 우리는 칼국수집엘 갔다. RPM이 순간적으로 5000을 넘나들었고, 딸은 옆에서 신난다고 말했다. 오늘은 우리 둘밖에 없으니까 만두 한 접시 시키면 너랑 나랑 세 개씩 먹을 수 있어. 그러네. 결과적으로 만두는 내가 네 개 먹고 딸은 두 개 먹었다. 칼숙수가 막 나왔을 때 나는 내 몫의 세 번째 만두를 막 입에 넣는 중이었고, 딸 몫의 만두는 두 개가 아직 접시에 남아 있었다.

칼숙수를 보자 딸은 곧바로 칼국수에 손을 댔다. 이거 하나 내가 먹어도 돼? 나는 칼국수에서 눈을 거두고 딸의 만두에 젓가락을 가져가며 물었고 딸은 선심쓰듯 그러라고 했다. 이제 보니 이 집 칼국수는 면발이, 노란 기저기 고무줄처럼 굵다. 나는 딸이 먹기 좋게 김치를 찢어주었다. 딸도 나도 별로 말이 없었다. 새삼스럽게 이것저것 말을 시키는 꼰대짓을 하고 싶지 않았고, 딸도 엄마를 닮아 말수가 적었다. 이상하게 조개가 잘았다. 이 조개도 수입한 건가. 더러 모래가 입안에서 까끌거렸다.

만두 얘기 아직 안 끝났다. 세숫대야 만한 칼국수 그릇에서 마지막 면발 두 가닥을 건져 올렸을 때에도 접시에 만두가 하나 남아 있었다. 딸은 배부르다는 말을 했다. 잘 하면 저것도 내가? 조심스럽게 물었다. 너 그 만두 먹을 거니? 응. 딸은 이제 좀 식었겠지, 하며 만두를 집어 들더니 한 입에 두 동강을 내고, 잠시 망설이다가 반을 간장 종지에 내려 놓았다. 아예 간장에 말아 먹지 그러냐! 여기다 마는 것보다는 낫지, 하며 딸은 칼국수 국물이 남아 있는 제 앞접시를 가리켰다. 딸이 마지막 만두 반쪽을 마저 처리하는 동안 나는 세숫대야 만한 칼국수 그릇에서 조개살 두 개를 건져 먹었다. 치사한 자식, 반만 줄 것이지, 라고 생각하면서. 아, 배부르다.

음식값을 치루고, 박하사탕을 하나 물고, 배를 퉁퉁 두 번 친 다음 집으로 차를 몰았다. 이번 신호에 저 사거리를 기필코 건너고 말겠다는 일념으로 페달을 밟았고, 이 놈의 빨간 신호등은 두환이처럼 명도 지지리도 길다 생각하며 쓰리, 투, 원 카운트 다운을 했다. 이러는 날 아내는 재밌어도 했고 유치하게 여기기도 했는데 딸은 뭐라 생각했는지 모르겠다. 알게 뭐람, 딸한테 장가갈 것도 아닌데. 라디오에 스위치를 넣었다가 이내 꺼버렸다. 아빠, 나 노래 세 곡만 새로 다운로드 받게 해줘. 그러지 뭐.

지금은 0시 14분. 몇 분 전까지 침대에 엎드려 A4 용지를 수북이 쌓아놓고 뭔가 그려대던 딸은 불끄고 잠들어 있다. 아내가 애 시험공부 좀 시키라고 했는데 하나토 안 시켰다. 딸이 낮에 30분 공부했다고 자랑한 게 전부다. 끝으로 점심에는 김치와, 아내가 처가에서 가져온 오이지 무침과, 계란 후라이 하나 넣고 비빈 내 비빕밥을 딸이 맛있다고 뺐어 먹었다는 것도 적어둬야 겠다.

어떤 대화

우: 아빠, 평생 동안 남을 그림을 그리기로 했어.
따위: 왜 그런 무모한 결심을 하니?
우: 내가 그리고 싶어서 그리는 게 아니야.
따위: 그럼?
우: 졸업 앨범에 롤링 페이퍼를 넣는대.
따위: 그런데?
우: 그런데 글씨만 쓰면 밋밋하니까 꾸며야 되잖아?
따위: 그런데?
우: 선생님이 내가 우리반에서 그림을 제일 잘 그린다고 나보고 꾸미라셔.
따위: …..
우: 그냥 그렇게 됐어.

고작 롤링 페이퍼 하나 꾸미는 거 가지고 뻥이 심하도다. 뻥이 심한 건 나를 닯았다. 나도 자식에게 세습–요새 이 말이 유행이다–시켜준 게 있다, 뭐.

가을 날

병원 정문을 지나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본관을 향해 걸어가면서, 진료카드를 안 가져와서 접수대에 예약 시간과 담당 의사 이름을 대야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는데 의사 이름이 기억이 안난다. 제길, 나도 다 됐구나, 하면서 터덜터덜 걷는다. 그런데 우리집 안방보다 큰 회전문에 접어드는 순간에 의사 이름이 딱 떠오른다. 이래서 병원 공기를 마셔야 한다니까. 음, 이 걱정과 근심의 냄새.

접수를 마치고 전광판에 내 차례를 알리는 번호가 뜨기를 기다리며 대기석에 앉는다. 30분 정도 남았다. 늘 주는 번호표, 외래 진료 진행 안내문 외에 오늘은 뭔가 한 장이 더 있다. 환자의 권리, 환자의 책임이 앞뒤로 인쇄된 A5 크기의 종이다. 읽어 본다. 환자는 … 권리가 있다. 환자는 … 책임이 있다, 는 문장이 나열돼 있다. 최소한 라임은 맞는다. 아, 아픈 것도 서러운데 권리도 많고 책임도 많군.

시간 드럽게 안 간다. 아직도 20분을 더 기다려야 한다. 이따금씩 고개를 들어 전광판을 확인하며, 나는 이제 아이폰으로 웹서핑을 한다. 아무도 찾지 않는 블로그와 아무도 말걸어 주지 않는 트위터와 아무도 메시지 보내주지 않는 이메일을 다 확인한다. 와이파이 신호는 많이 잡히는데 다 비밀번호로 잠가놨다. 인심 한번 고약하군.

그제서야 누군가가 읽다가 놓고 간 옆자리의 여성지가 눈에 들어온다. 여성동아다. 넘겨 본다. 와, 예쁘다. 와, 멋있다. 와, 야하다. 광고 페이지를 넘겨보며 감탄을 하다가, 아니다. 지금 내가 이미지에 속을 때가 아니지, 텍스트를 읽어야지, 텍스트를! 하고 기사를 살펴보니 신애라가 홈스쿨링을 한다는 얘기, 설경구가 송윤하 하고 사는 얘기 등이 있다. 여성지가 어디 가겠어? 고개를 들어 내 번호가 한 칸 위로 올라간 걸 확인하고, 다시 잡지에 코를 처박으려는 순간, 앞줄에 앉은 사내의 손에 들려 있는 초음파 사진이 눈에 들어온다. 사내의 오른쪽에는 아내로 보이는 여자가 앉아 있다. 둘은 말이 없다.

잠시 후 무대 왼쪽에서 어떤 여자 사람이 손에 신문을 잔뜩 들고 등장해서 사람들에게 차례대로 나눠주기 시작한다. 읽어보세요. 읽어보세요. 하느님 말씀이 적혀 있어요. 나는 그 여자 사람이 내게도 그걸 건넬까 두려워 잡지를 열심히 읽는 연기를 한다. 소용 없다. 잠시 후 잡지 위로 신문이 쑥 들어온다. 읽어 보세요. 그러면 그렇지. 바랄 걸 바라야지. 또 성격 돋는다. 이봐요, 나는 지금 하느님 말씀 보다 홈스쿨링 얘기에 더 관심이 있다구요. 내가 자그마치 애가 셋이요, 셋! 이라는 말을 꾹 삼키고 퉁명스럽게 기어코 한 마디 뱉는다. 지금 이거 읽고 있잖아요. 여자 사람은 무안해졌는지 다음 사람에게 간다. 못난 놈. 미안합니다. 제가 좀 돼먹지 못했거든요.

의사도 별 말이 없고 나도 별 말이 없다. 6개월 뒤에 봅시다. 네, 안녕히 계세요. 인사를 하고 돌아나오며 이곳에 다시 오면 그때는 목련꽃 봄이겠구나, 생각한다. 이제 진료비, 검사비 수납하고 약국 갈 시간이다. 수납은 기계 앞에서 한다. 줄 서서 기다리는 것보다 빠르고 편하다.

애초에 병원에서 제일 가까운 약국을 선택하는 게 아니었다. 10미터만 더 가면 파리 날리는 약국이 즐비한데 이 약국만 늘 붐빈다. 처방전 디밀고, 호명하면 수납하고, 다시 기다리다가 다시 호명하면 약 받아 나오면 된다. 내 앞의 여자 사람은 553,370원을 6개월 할부로 결제한다. 내 약값은 4,700원! 나를 호명한 약사는 약을 건네며 의무감인지 직업의식인지 이것저것 설명하려 들고, 나는 긴 병에 만사 귀찮다는 표정으로 시쿤둥하게 듣다가 약국을 나온다. 끝났다.

약국을 나와 다시 병원 주차장으로 향한다. 내 앞에 털모자를 눌러쓴, 병색이 완연한 여자 아이가, 무전기를 든 직원이 지키고 선 길을, 엄마 손을 잡고 힘겹게 걸어간다. 병원앞 도로는 꽉 막혀 있다. 나는 어디 가야 담배를 살 수 있을까 생각한다. 하늘은 드럽게 푸르고 10월의 마지막 날은, 얼마 남지 않았다.

가을 숲


–10월 15일, 강원도 인제군 곰배령에서 아이폰으로 촬영

오늘의 문장

“쇼피알. 쇼로 하는 CPR(심폐소생술). 실제로 환자의 소생을 기대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사망선언을 늦추려고 혹은 할 만큼 했다는 의사의 자기방어를 위해서 행해지는 CPR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읽어야 한다. 한 자라도 더 읽어야 한다. 살아 있는 동안은, 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