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는 빨대다

언제 기회 있으면 우리집 아이들에게 어린이가 뭐지, 라고 물어보라. 열이면 열 빨대, 라고 대답할 것이다. (암만 그래도 열은 좀 많다.) 어린이를 언필칭(고색창연쿠나) 빨대라고 대답하는 저 얼토당토 않은 은유는 물론 내가 세뇌 및 주입한 것이다. 늘 그렇듯 고상한 의미 따위는 없다. 그냥 어린이는 빨대처럼 모든 지식을 빨아들여야 한다는 아빠된 자의 강요를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어 고상하게 표현한 것 뿐이다. 묻겠다. 어린이는 뭐지?

내 그럴 줄 알았다. 당신, 분명히 빨대,라고 대답했으리라. 떼끼. 그럴 때를 대비해서 나는 다른 대답을 준비해 두었다. 그게 뭐냐구? 기다려보라.

아무튼 우리집 아이들에게 어린이로서의 자부심과 지식습득에 대한 막대한, 그러니까 내 말은 타는 듯한, 갈망을 심어준 것 까지는 좋았는데 오늘 드디어 일이 터졌다. 늘 그렇듯 별 일 아니다.

밤 열시가 넘어서 ‘우’가 곳간을 뒤져 노란 귤방울이 방울방울 맺혀 있는 비닐봉다리(안다, 나도 봉지라고 해야한다는 거)를 찾아왔다. 맛있는 걸 보면 우리는 이렇게 말한다. 뒷다리 한 개만! 뒷다리 한 개만! 영화 센과 치히로의 해방불명에 나오는 대사다.

귤방울을 보자 침방울이 솓아난 나는 득달같이 달려가 뒷다리 한 개만!을 외쳤다. 얼마나 빨랐느냐 하면 예전에 다방구 놀이할 때 붙잡혀서 거점에 줄줄이 매달려 있는 친구들을 구하기 위해 잽싸게 달려가 ‘야도’를 외치던 그 정도 속도였다. 그리고 ‘우’에게는 두 개만 먹으라 말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많이 먹으면 안좋다 말하면서.

나는 세 개를 꺼내 들었다. 아니나 다를까 바로 태클이 들어왔다. 아빠만 왜 세 개 먹어?

야, 이눔아. 봐라. 아빠 팔뚝이 더 굵지? 이 굵은 팔뚝을 들어올리려면 에너지가 더 많이 필요해. 그리고 아빠 코 봐. 크지? 이 코를 유지보수할래도 에너지가 더 많이 필요해. 그래서 아빠가 더 많이 먹어야 해. (김현의 <<행복한 책읽기>>에 이런 구절이 있다. “권위주의는 동어반복이다. 나는 권위 있느니까 권위 있다!”)

그러자 ‘우’가 눈물이 그렇그렁한 눈으로 이렇게 말하는 거디었던 거디었다. 나, 바로 귤 하나 더 꺼내 줄 수밖에 없었다. 그 말은 이랬다.

나는 어린이야. 어린이는 쑥쑥 자라야하니까 어른보다 많이 먹어야한단 말이에욧!

어린이, 빨대 맞다. 귤도 잘도 쪽쪽 빨아 먹는다. 그리하여 내 바야흐로 마침내 드디어 입 아프게 다시 묻는다. 어린이는 뭐지?

내 그럴 줄 알았다. 당신, 분명히 빨대,라고 대답했으리라. 떼끼. 그럴 때를 대비해서 나는 다른 대답을 준비해 두었다. 그게 뭐냐구? 글쎄 기다려보라.

Posted in 애 셋.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