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노그라피아

비톨트 곰브로비치(지음), 임미경(옮김), <<포르노그라피아>>, 민음사, 2004

조심스럽게 사용해보는 용어인데, 이 소설은 ‘역방향 소설’이라고 규정할 수 있겠다. 뒤로 걸으면 낯설다. 우리가 앞으로 걷는 것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는데 3시간쯤 소요되었으니 그 시간 만큼 나는 뒤로 걸어본 ─ 후퇴가 아니다. ─ 셈이다.

나는 순방향은 좋은 의미로, 역방향은 나쁜 의미로 쓴 것이 아니다. 굳이 그 의미를 밝혀보자면 순방향이란 우리가 ‘알게 모르게 순치되어 있는 방향’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제목은 ‘Pornografia’인데 grafia는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어감상 ‘역방향의 가치가 실현되는 소설적 공간’이 아닐까 짐작만 할 뿐이다. 그렇다면 포르노는 ‘역방향’의 상징인 셈이다.

p.s.
아, 포르노그라피아에 포르노는 없다.

안전지대 고라즈데

조 사코(지음), 함규진(옮김), <<안전지대 고라즈데>>, 글논그림밭, 2004

세상 어딘가에 고라즈데라는 이름의 도시가 있다. 얼마 전 그곳에서 끔찍한 일이 있었다. 지은이는 그 ‘일’을 만화로 그렸다. 인간으로 산다는 것, 그건 대체 뭘까?

소망 없는 불행

페터 한트케(지음), 윤용호(옮김), <<소망 없는 불행>>, 민음사, 2002

페터 한트케Peter Handke — 그는 빔 벤더스와 함께 <<베를린 천사의 시>>의 시나리오를 쓴 작가이다. — 는 1942년 생이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스물 아홉이었을 때, 그러니까 “1971년 11월 18일, 목요일”에 “모든 식구들에게 작별의 편지를” 쓰고 그 다음 날 자살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페터 한트케는 어머니의 삶을 썼다. 그녀는 “소망 없는 불행”을 살았다.

“여자로 태어난다는 것은 애당초부터 치명적인 일이었다.”

남편 — 페터 한트케의 친부는 아니다. 그는 이 사람을 어머니의 남편이라고 칭했다. — 은 아내에게 소망이 되지 못했다.

“남편 모르게 그녀는 꼬챙이로 아이 하나를 유산 시켰다.”

“겨울이 되어 건축 일이 없으면 실업 보조금이 지급되었지만 그녀의 남편은 그것으로 술을 마셨다. 그녀는 그를 찾아 이 술집 저 술집을 뒤지고 다녔고 그럴 때면 그는 고소하다는 듯 악의에 가득 찬 채 그녀에게 남은 돈을 내보이곤 했다. [……] 두 사람 다 집요하게 입을 다물고 있다가 드디어 그녀가 입을 열어 <짐승 같은 놈! 짐승 같은 놈!> 하면서 그가 기다리고 있었던 말을 하면 그 말 때문에라로 그는 그녀를 제대로 팰 수 있었다. 어머니는 얻어 맞을 때마다 잠깐씩 그를 비웃었다. [……] 이불 속에 있는 아이들은 그저 밀치는 소리, 씩씩대는 소리, 때로는 찬장 속의 그릇이 깨지는 소리를 들었다. 다음 날 아침이면 침대에 남편은 기절한 듯 누워 있었고 아내는 잠자는 척하며 눈을 감고 있었으며 그러는 동안 아이들은 몸소 아침 준비를 했다.”

“그들이 함께 늙어간다는 것이 그녀를 감동시키지는 않았으나 겉으로는 사는 걸 편하게 받아들이도록 했다. 왜냐하면 그가 더 이상 그녀에게 손찌검을 하지도, 그녀를 못살게 굴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 그들은 참된 의미에서 함께였던 적이 결코 없었기 때문에 멀어지지도 않았다. 편지의 한 구절이 떠오른다. <내 남편은 잠잠해졌단다.> 그녀 역시 자신이 그에게 평생토록 하나의 불가사의였다는 생각을 하며 그와 함께 보다 잠잠히 살았다.”

자식도 그녀에게 소망이 되지 못했다.

“나는 이미 오로지 나만의 삶을 꾸려가고 있었다. 팔월 중순에 나는 다시 독일로 돌아갔고 그녀를 혼자 남겨 놓았다. 그후 몇 달 동안 나는 작품을 썼고 그녀는 가끔씩 소식을 전해 왔다.
<내 머릿속에선 무언가 윙윙댄단다. 견디기 힘든 날이 많다.>”

정치도 그녀에게 소망이 되지 못했다.

“이제 그녀는 정치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녀는 더 이상 남편이 하라는 대로, 혹은 남편의 고용주이자 그녀의 오빠가 지지하는 정당에 투표하지 않고 사회당에 투표했던 것이다.[……] 꿈속에서나 출구를 찾을 만큼 억압되어 있었던 섹스에 대한 혐오감과 안개로 축축해진 침대 시트, 꾀죄죄한 이불을 머리 꼭대기까지 뒤집어 쓴 채 그녀는 혼자였다. 그녀에게 정말 중요한 것은 정치적인 것이 아니었다. 물론 그녀의 생각에 잘 못이 있었다. 그러나 어디에? 그리고 어떤 정치가가 그녀에게 그걸 설명해 줄 수 있었을까? 또 어떤 말로?
정치가들은 다른 세계에 살았다. 사람들이 그들에게 질문을 해도 그들은 대답도 하지 않고 자신들의 입장을 표명할 뿐이었다.”

자살하기 얼마 전 신경쇠약증에 걸린 그녀는 이렇게 편지를 썼다.

“<나는 모든 것을 끝까지 생각할 만큼 논리적이지 못하고 머리가 아프단다. 머릿속이 윙윙거리고 때론 휘파람 소리까지 들려와 더 이상 바깥에서 나는 소리를 견딜 수가 없구나.>”

부음을 받고 작가는 장례식에 참석하러가며 이런 생각을 한다.

“그거였어. 그거였어. 그거였다니까. 아주 좋아. 아주 좋아. 아주 좋다니까. 비행기를 타고 가는 동안 나는 그녀가 자살을 했다는 데 긍지를 느껴서 제정신이 아니었다.”

기억은 체계적이지도 않고 논리적이지도 않다. 그것은 파편이다. 페터 한트케는 말미에 그런 파편들을 몇 개 늘어 놓았다.

“어머니는 지나가면서 자주 침으로 재빨리 아이들의 콧구멍과 귀를 닦아주곤 했다. 나는 항상 움찔하며 뒤로 물러났다. 나는 침 냄새가 싫었다.”

“한번은 등산 모임에서 그녀가 오줌 누려고 일행으로부터 빠져나간 적이 있었다. 그게 너무 창피해서 내가 엉엉울자 그녀는 오줌 누러 가지 못했다.”

“그녀가 매일 하던 사소한 일, 특히 부엌에서 일을 하던 그녀에 대한 나의 고통스런 추억.”

독후감 끝에 내 자신의 파편을 몇 개 보탤까 하다가 그만 둔다.

내 이름은 빨강

오르한 파묵(지음), 이난아(옮김), <<내 이름은 빨강 1, 2>> 민음사, 2004

(스포일러 있음)

모든 것이 정해진 세상에서는 고민할 것이 없다. 그저 정해진대로 따르기만하면 된다. 1591년 오스만투르크 제국이 그러했다.

원칙은 간단하다. 좋은 그림은 종교와 코란에 위배되지 않아야 한다. 세밀화가는 자신이 그린 그림에 자신의 서명을 할 수도 없으며 그림속에 자신만의 스타일을 드러내서도 안된다. “스타일이라는 것은 개인적인 흔적을 남기는 오류”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세밀화가들이여, 원칙을 따르라.

그러나 세상에는 하지 말라는 거 굳이 하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다. 교묘한 방법으로 자신만의 서명을 몰래 넣은 이도 있었고 그림의 특정부분을 정해진 방식대로 그리지 아니하고 자신의 스타일로 그려서 그 그림이 자신의 작품임을 증거하는 화가도 있었다. 가령, 왼쪽에서 세번째 속눈섭의 방향을 정해진 대로 그리지 않는 식이다. (이 예는 내가 급조해 낸 것이다.)

뭐 좋다. 이해한다. 그럴 수 있다. 내가 그린 기린 그림이 네가 그린 기린 그림이 아니라는 뜻에서 내가 내 기린 그림에 서명을 하겠다는데 누가 뭐라겠는가.

아무튼 이렇게 그려진 그림들은 지배자 술탄의 것이 된다. 예나 지금이나 좋은 것은 권력자의 것이다. 세밀화가들은 국가관청인 ‘화원’에 소속되어있다. 공무원인 것이다.

그런데 베네치아에 가서 원근법으로 그려진 그림과 초상화를 보고 온 이가 있었다. 서양문물, 언제나 이게 문제다. 그는 자신이 보고온 대로 그림을 그리고자 했다. 아니 화원 소속의 세밀화가들에게 돈을 주고 자신이 원하는대로 그리게 했다. 간도 크다. 종교와 코란에 위배되는 짓을 하다니. 이런 일 혼자서는 못한다. 뒤를 봐주는 사람이 있게 마련이다. 누굴까?

“다르게 그리기 시작한다는 것은 세계를 다르게 보기 시작”하는 것이다. 가치관이 달라지고 세계관이 달라지는 것이다. 그러니 싸움이 일어날 밖에. 싸움이 치열해 지면 사람이 죽게 마련이다.

범인은 식물성이다.

p.s.
‘원근법’은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는 크게 그리고 먼 곳에 있는 물체는 작게 그리는 것이다. 내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은이 원근법조차 발견된 것이란 사실이다. 내 눈에 그렇게 보이는 데, 그저 보이는 그대로 그리면기만 하면 되는 것인데 어떻게 그걸 모를 수가 있었을까.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수잔 벅 모스(지음), 김정아(옮김),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문학동네, 2004

요즘은 뭐를 써도 쓸 수가 없다. 짧게 메모한다.

내 고민은 갈수록 ‘정치’와 만난다. 지나보면 아는데 지나보기가 힘들다. ‘지나보면 아는 것’이 역사라면 ‘지나보기’는 당대의 삶일 것이다.

지진이 슬쩍 건드려본 당대의 한반도. 노무현은 리움엘 갔고, 욘사마는 독도때문에 입장이 난처했다.

“과거는 유령처럼 현재 위를 떠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