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살 아들 녀석이 물어온 질문인데 선뜻 대답을 해줄 수 없었다.
도움을 얻을까해서 인터넷 검색을 해봤는데 대략 난감.
각운동량, 세차운동, 회전운동량, 관성모멘트, 각속도, 구심가속도, 구심력, 원심력, 토크 …
6살 아들 녀석이 물어온 질문인데 선뜻 대답을 해줄 수 없었다.
도움을 얻을까해서 인터넷 검색을 해봤는데 대략 난감.
각운동량, 세차운동, 회전운동량, 관성모멘트, 각속도, 구심가속도, 구심력, 원심력, 토크 …
언제 기회 있으면 우리집 아이들에게 어린이가 뭐지, 라고 물어보라. 열이면 열 빨대, 라고 대답할 것이다. (암만 그래도 열은 좀 많다.) 어린이를 언필칭(고색창연쿠나) 빨대라고 대답하는 저 얼토당토 않은 은유는 물론 내가 세뇌 및 주입한 것이다. 늘 그렇듯 고상한 의미 따위는 없다. 그냥 어린이는 빨대처럼 모든 지식을 빨아들여야 한다는 아빠된 자의 강요를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어 고상하게 표현한 것 뿐이다. 묻겠다. 어린이는 뭐지?
내 그럴 줄 알았다. 당신, 분명히 빨대,라고 대답했으리라. 떼끼. 그럴 때를 대비해서 나는 다른 대답을 준비해 두었다. 그게 뭐냐구? 기다려보라.
아무튼 우리집 아이들에게 어린이로서의 자부심과 지식습득에 대한 막대한, 그러니까 내 말은 타는 듯한, 갈망을 심어준 것 까지는 좋았는데 오늘 드디어 일이 터졌다. 늘 그렇듯 별 일 아니다.
밤 열시가 넘어서 ‘우’가 곳간을 뒤져 노란 귤방울이 방울방울 맺혀 있는 비닐봉다리(안다, 나도 봉지라고 해야한다는 거)를 찾아왔다. 맛있는 걸 보면 우리는 이렇게 말한다. 뒷다리 한 개만! 뒷다리 한 개만! 영화 센과 치히로의 해방불명에 나오는 대사다.
귤방울을 보자 침방울이 솓아난 나는 득달같이 달려가 뒷다리 한 개만!을 외쳤다. 얼마나 빨랐느냐 하면 예전에 다방구 놀이할 때 붙잡혀서 거점에 줄줄이 매달려 있는 친구들을 구하기 위해 잽싸게 달려가 ‘야도’를 외치던 그 정도 속도였다. 그리고 ‘우’에게는 두 개만 먹으라 말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많이 먹으면 안좋다 말하면서.
나는 세 개를 꺼내 들었다. 아니나 다를까 바로 태클이 들어왔다. 아빠만 왜 세 개 먹어?
야, 이눔아. 봐라. 아빠 팔뚝이 더 굵지? 이 굵은 팔뚝을 들어올리려면 에너지가 더 많이 필요해. 그리고 아빠 코 봐. 크지? 이 코를 유지보수할래도 에너지가 더 많이 필요해. 그래서 아빠가 더 많이 먹어야 해. (김현의 <<행복한 책읽기>>에 이런 구절이 있다. “권위주의는 동어반복이다. 나는 권위 있느니까 권위 있다!”)
그러자 ‘우’가 눈물이 그렇그렁한 눈으로 이렇게 말하는 거디었던 거디었다. 나, 바로 귤 하나 더 꺼내 줄 수밖에 없었다. 그 말은 이랬다.
나는 어린이야. 어린이는 쑥쑥 자라야하니까 어른보다 많이 먹어야한단 말이에욧!
어린이, 빨대 맞다. 귤도 잘도 쪽쪽 빨아 먹는다. 그리하여 내 바야흐로 마침내 드디어 입 아프게 다시 묻는다. 어린이는 뭐지?
내 그럴 줄 알았다. 당신, 분명히 빨대,라고 대답했으리라. 떼끼. 그럴 때를 대비해서 나는 다른 대답을 준비해 두었다. 그게 뭐냐구? 글쎄 기다려보라.
어느 화창한 봄날이었어요.
선생님은 헬렌에게 컵을 들려 펌프가 있는 뜰로 나갔습니다.
헬렌의 손에 차가운 물이 쏟아졌어요.
깜짝 놀란 헬렌은 컵을 떨어뜨렸어요.
그 순간, 선생님은 헬렌의 손바닥에 ‘물’이라고 썼어요.
선생님은 몇 번이고 ‘물’이라고 썼어요.
‘네 손에 닿는 것이 무엇인지 알겠니? 물, 물이란다.’
선생님은 *애원하듯 자꾸자꾸 썼어요.
헬렌도 선생님의 손에 ‘물, 물’이라고 서툴게 썼어요.
헬렌은 천천히 손을 뻗어 물을 느껴 보았어요.
헬렌의 보이지 않는 눈이 반짝 빛났습니다.
‘물, 물, 물 … !
아, 이것이 물이구나!
이 차가운 것이 물이다!’
헬렌은 드디어 알게 되었어요.
세상 모든 것에는 제각기 이름이 있다는 것을 말이에요.
“헬렌, 드디어 **깨달았구나!”
헬렌은 손에 닿는 모든 것의 이름을 알고 싶어했어요.
그럴 때마다 선생님의 손등을 톡톡 쳤습니다.
헬렌은 동생이 ‘아기’라는 것을 알았어요.
‘인형’이라는 글자도 알았어요.
자기 이름이 ‘헬렌’이라는 것도 알았어요.footnote:
*애원하다: 슬픈 소리로 간절히 바라다.
**깨닫다: 생각하던 끝에 알아내다.─ 김종상(글), 박지숙(그림), <<헬렌 켈러>>, 한교, 1997
덧붙일 말은 나중에…
1.
일요일, 온 가족이 빈둥댔는데 드디어는 마음이 또 근질근질 해진 우가 산에 가자고 졸랐다. 날도 쌀쌀한데다 귀찮기도 해서 이 핑계를 대서 결국 우의 마음을 돌렸다. 한 숨 자고 났는데 아직도 마음이 근질근질한 우가 이번에는 공원에라도 가자고 졸랐다. 이번에는 저 핑계를 대서 역시 가지 않았다. 녀석은 결국 다 포기하고 저 혼자 나가서 줄넘기를 하고 들어오더니 얼마 후 그림 반 글 반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어깨 너머로 보니 이렇게 썼다. “밖에 나가서 줄넘기를 했다. 재미 있었다.” 순간 이번에는 내 마음이 마구 간지러워졌다. 산에 다녀왔으면 틀림없이 이렇게 썼으리라. “아빠와 산에 갔었다. 재미 있었다.”
2.
언이가 프라하의 연인을 보다가 TV 모니터에 가까이 가더니 전도연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한 마디 했다. “아빠, 얘 정말 예쁘다.” 나는 살짝 어이가 없었다. 아내에게 말했더니 아내가 기어코 아이를 시험에 들게 했다 . “어니야, 엄마보다 더 이쁘든?” 아이는 엄마 눈치를 살짝 보더니 말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아내는 자식 새끼 키워봐야 소용없다고 말하며 분개하더니 이렇게 덧붙였다. “짜식, 눈은 높아 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