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형아가 소중해, 양파링이 소중해?
그야 평소 때와 반쯤 굶었을 때가 다르지.
평소 때는 어떤데?
그야 형아가 소중하지.
반쯤 굶었을 땐?
그땐 양파링이 소중하지. 안 그러면 내가 식인종이 될지도 모르거든.
Category Archives: 애 셋
어느 소녀의 짝사랑 이야기
삑삑삑삑삑삑삑! 아들 녀석들과 더불어 쿡TV로 1박2일 보며 미션 실패를 안타까워 하고 있는데 현관문 번호키 누르는 소리가 난다. 삐리리리리리! 경고음이 뜬다. 고3 대우 중1 따님이 또 번호를 잘못 누르신 거다. 엄마 닮아 덤벙거리기는!
_안녕 아빠!
_오냐.
_아빠 나 오늘 버스에서 번호 따일 뻔 했다.
_버스에서 번호를 따다니. 그게 뭔 소리야?
나는 녀석이 친구들하고 놀다가 어느 멋진 놈한테 가서 번호 따는 벌칙이라도 걸린 줄 알았다.
_니가 가서 어떤 새끼 번호를 물어봤다구?
_아니, 아빠. 그게 아니고 내가 번호를 따일 뻔 했다구.
_그게 뭔 소리야. 자세히 좀 얘기해봐.
_응. 버스 타고 집에 오는데 거 뭐냐 불X고등학교 교복 입은 언니가 다가와서 내 번호를 물어보는 거야.
순간 가슴이 덜컥한다. 우리 딸이 드디어 동네 일진들 눈에 띄었구나. 어떤 놈이 우리 딸 찍어 놓고 여자애 시켜서 번호를 알아내려는 거구나. 이 노릇을 어쩐다. 아침저녁으로 등하교를 시켜야하나? 나는 녀석이 전화번호를 알려주었으면 어쩌나 걱정이 앞선다.
_그래서 어떻게 했어? 알려 줬어?
_아니. 저 여잔데요, 했더니 언니가 황당해 하면서 갔어.
녀석은 그렇게 말하고는 별일 아니라는 듯이 자기 방으로 가버린다. 나와 엽이와 언이가 빵 터져서 웃어댔더니 녀석이 다시 나와서 뭐가 그렇게 재미있냐고 묻는다.
_헐. 내 얘기 때문에 웃은 거였어?
하더니 다시 자기 방으로 간다. 남자로 오인 받는 게 한두 번도 아닌데 그게 뭐가 대수냐는 듯이.
하긴. 키 크지. 머리 짧지. 여드름 났지. 체육복 입고 있지. 남자 치고는 미소년 스타일이지. 소녀 마음 설레일 만도 했을 것이다.
p.s.
막내는 학교에서 자전거를 도둑맞았다.
다뭐시기가 대체 뭔뭐시기인가
며칠 전 일이다. 아침 식탁에서 하얀 쌀밥 한 삽과 갓 구운 총각김치를 입에 넣고 오물우물거리며 고3대우 중1딸이 ‘다뭐시기’가 뭐냐고 묻는다. ‘다뭐시기’가 뭔지 발음이 불분명하여 알아들을 수가 없다. 이때다. 꼰대정신을 발휘할 일주일에 한번 올까말까 한 기회다.
“잘 들어라. 전치사 with의 용법에 어떤 상황이 다른 일과 같이 일어나는 것을 표현하는 용법이 있다. 그런 걸 부대상황의 with라고 한다. 그 옛날에 일본놈님들이 그렇게 번역해서 말이 어렵다. 밥 먹을 때 찌개를 같이 먹지. 그때 먹는 찌개를 부대찌개라고 하는 거다.”
설명이 한창 중모리에서 중중모리로 넘어가려는데, 부대찌개 소리에 아내가 나를 흘겨본다. 안다. 나도 어이 없는 거. 그래도 무서워하면 안 된다. 뻔뻔해야 한다. 그래야 웃긴다. 아무려나 아버님 말씀 알기를 지나가는 꽹과리 소리로 아는 딸은 또 하얀 쌀밥 한 삽 떠서 입에 넣고 빨간 총각김치 집에 입에 넣고 우적우적 씹으며 ‘다뭐시기’가 뭐냐고 묻는다. 참아야 한다. 훌륭한 꼰대는 참을성이 많다.
“아빠가 여태 니가 물은 말에 대답을 하고 있었는데 너는 듣지도 않고 다시 묻는구나. 다시 설명할테니 잘 들어라.”
나는 앞의 말을 반복한다.
“전치사 with는 어떤 일이 동시에 벌어지는 상황을 표현하는 데도 쓴다. 그런 걸 부대 상황의 with라고 한다. 일테면 부대찌개는 밥 먹을 때 같이 먹는 찌개를 말하는 것이다. (아내가 또 쳐다본다.) 부대상황의 with를 설명할 때 드는 대표적인 예문이 있다. DO NOT SPEAK WITH YOUR MOUTH FULL. 그러니 입 안에 음식물 물고 말하지 말란 말이닷! 알겠느냐. 자, 네가 궁금한 게 뭔지 다시 물어보거라.”
딸은 아빠에 대한 절망감에 한숨을 푹 쉬며 입안에 있던 음식물을 삼키고는 다시 묻는다.
“‘다뭐시기’가 뭐예요?”
“뭐? 그게 무슨 말이야? 처음 듣는데…”
“영화 써니에 나왔는데. ‘다뭐시기’ 문학소녀라고…”
그러더니 딸은 밥 먹다가 말고 자기 방으로 달려가 두 트럭 분량의 영화 전단지를 가져와서 <써니>를 찾는다고 법석이다. 아내는, 밥 먹다가 말고, 자기가 찾아준다고 나서더니 찾으라는 <써니>는 안 찾고 다른 영화 전단지를 찬찬히 구경하고 계시다. 원빈이라도 있으면 품에 품을 기세다. 원빈, 너 나랑 싸우자.
지켜보던 딸이 답답한지 자기가 찾겠다고 나선다. 아내는 <최종병기 활> 전단을 빼어들고 물러난다. 나는 딸이 그 뜻을 궁금해하는 말이 대체 무슨 말인지 궁금해 미치겠다. 드디어 찾던 걸 찾은 딸이 내 앞에 문제의 전단에서 7공주(6공주인가?) 가운데 한 명을 가리키며 말한다.
“얘가 다굿발 문학소녀래. 다굿발이 뭐냐고?”
“다끝발? 다굿빨? 대구빨? 다구빨? 뭔지 모르겠다. 사전 찾아봐라.”
그리하여 뭐야, 자기도 모르면서 아는 척은, 하고 속으로 본 꼰대를 향하여 무한 툴툴 거렸을 딸이 다뭐시긴지 다거시긴지 다끝빨인지를 검색하러 간 사이, 혹시나 싶어 아이폰 검색창에 /다구/까지 쳤더니 /다구빨/이 추천 검색어로 뜬다. 별거 아니었다.
장마비 내리는 일요일
(전략)
언: 난 빵점 맞은 건 없어. 하지만 빵점 맞는 것도 재능이야.
(후략)
오호, 그러셔? 미안하다. 그런 재능을 물려주질 못해서.
*****
요점 정리하는 과정 자체가 공부이기 때문에 물고기에도 중금속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라고 방금 내가 말했다고 아들녀석이 킬킬 거렸다. 그러자 나머지 두 놈도 좋다고 웃어댔다.
변명 아닌 변명을 하자면 기실 내 머리 속에는 녀석들의 질문에 답하는 두 문장이 동시에, 그러니까 소위 대위법적으루다가 떠올랐던 것 뿐이다. 나는 하나인데 세 놈이 동시에 질문을 해댈 때는 저런 정신분열적 사고가 아니면 대처가 안 된다는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