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고통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타인의 고통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이후, 2004

내가 이 책을 사던 날, 그러니까 2004년 4월 22일 북한의 평안북도 용천역에서 대폭발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국내 언론이 보여줄 수 있는 그림이라고는 고작 폭발이 있기 전의 위성사진뿐이었다. 다음날 혹은 그 다음날 폭발로 인해서 ‘깊게 파인 웅덩이’를 찍은 사진과 폐허가 된 ‘룡천소학교’ 사진이 외신을 타고 들어왔다. 깊이가 10m에 달하는 웅덩이가, 그리고 꼭대기 층이 완전히 날아가 버린 학교 건물의 모습이 당시의 폭발의 충격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해주었다.

다음날 혹은 그 다음날 마침내 부상으로 고통스러워하는 북한 어린이들의 모습을 촬영한 장면들이 신문에 나고 텔레비전에 방영되었다. 화상을 입고 기본적인 치료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신음하고 있는 모습은 보는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사진은 뭐하는 물건인가. 그것은 뭔가를 보여주는 물건이다. ‘뭔가’는 부정형이니 이제부터 그냥 ‘이미지’라고 부르기로 하자. 다시 말하자. 사진은 ‘이미지’를 보여준다. 사진은 피사체를 대상화하고, 현실을 추상화한다. 사진이 보여주는 것은 대상 그 자체가 아니고 대상의 ‘이미지’이다.

이 책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책의 제목처럼 ‘고통’이다. 그것도 ‘나’나 ‘우리’의 고통이 아닌 ‘타인’의 고통이다. 타인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나 혹은 우리는 사진을 통해서 타인의 고통을 이미지로 본다.

우리는 타인의 고통에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타인의 고통에서 눈을 돌리기도 한다. 우리는 결국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을 본다. 우리가 타인이 고통 받는 모습을 보고 싶어한다고? 물론!

인간에게는 “뭔가 소름끼칠 만큼 섬뜩한 것을 보고 싶어”하는 욕망이 있다. “고통 받는 육체가 찍힌 사진을 보려는 욕망은 나체가 찍힌 사진을 보려는 욕망만큼이나 격렬한 것”이고, “전쟁은 도저히 보고 싶어 견딜 수 없는(…)소식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매혹적인 육체가 외부의 공격을 받는 광경을 보여주는 모든 이미지들은 어느 정도 포르노그래피”이고, “의도했든 안했든, 나머지 우리는 관음증환자이다.”

사진의 영향력은 대단하다. 사진은 대상을 이미지화 한다. 사진에 찍히지 않은 ‘민생 살피기’는 민생 살피기가 아니다. 정치인들은 사진 찍히기 위해서 민생을 살핀다. 아니 민생을 살피는 이미지를 연출한다. 심지어 “사진에 찍혀야만 그 전쟁이 ‘현실적‘인 것이 되는” 것이다. ‘우리’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 고통들은 이제 ‘이미지’화 되어 유통되고 소비된다. 그게 전부다. 이게 문제다. “사방팔방이 모조리 이미지로 뒤덮인 세계에서는[…]우리는 완전히 무감각해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진이 먼 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고통을 우리 눈앞에 가져온다는 걸 알았다고 해서 도대체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외면하는 방법이 있다. 수잔 손탁이 1993년에 만난 사라예보의 한 여인의 말을 들어보자.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를 침략했던 1991년 10월 저는 깔끔한 제 아파트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그때만 해도 사라예보는 평화로웠죠. 제 기억으로는 저녁 뉴스에서 부코바르가 파괴되었다는 보도가 흘러나왔는데, 그곳은 이곳에서 몇 백 마일밖에 안 떨어져 있어요. 그때 전 이렇게 생각했더랍니다. ‘아, 끔찍한 일이군.’ 그리고는 채널을 돌렸습니다. 저도 그랬는데, 프랑스나 이탈리아나 독일 사람들이 매일 이곳에서 벌어지는 살육 소식을 저녁 뉴스로 보며 ‘아, 끔찍한 일이군’이라고 한 마디 하고는 딴 프로그램을 본다고 해서 화를 낼 수는 없지 않겠어요? 늘 그런 식이죠. 사람이란 그런 존재입니다.”

이렇게 외면하게 되는 동기는 우리가 덜 도덕적이어서가 아니다. 무력감 때문이다. 그 일련의 사태에 대해서 우리 “자신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느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거 남의 얘기가 아니다. 내 얘기다. 이라크 팔루자에서 미국이 끔찍한 살육을 저지르고 있다는 뉴스를 보면서 내가 취하는 행동이다. 술자리에서 부시는 개새끼다라고 말하고 나면 땡이다.

두 번째는 연민의 감정을 품는 것이다. 그러나 연민은 어쩌면 자기 기만적이다.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연민을 느끼는 한, 우리는 우리 자신이 그런 고통을 가져온 원인에 연루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것이다. 우리가 보여주는 연민은 우리의 무능력함뿐만 아니라 우리의 무고함도 증명해주는 셈이다. 따라서 (우리의 선한 의도에도 불구하고) 연민은 어느 정도 뻔뻔한 (그렇지 않다면 부적절한) 반응일지도 모른다.” 더군다나 “연민은 변하기 쉬운 감정이다.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런 감정은 곧 시들해지는 법이다.”

그렇다면 대체 무엇을 하란 말인가. 수잔 손탁은 우리에게 이거를 하라고 한다. 즉 “우리의 특권이(…)그들의 고통과 연결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숙고해 보는 것, 그래서 전쟁과 악랄한 정치에 둘러싸인 채 타인에게 연민만 베풀기를 그만둔다는 것, 바로 이것이야 말로 우리의 과제이다.”

그러나 결국 “‘우리’, 즉 그들이 겪어 왔던 일들을 전혀 겪어본 적이 없는 ‘우리’ 모두는 이해하지 못한다. 우리는 알아듣지 못한다. 우리는 전쟁이 얼마나 끔찍하며, 얼마나 무시무시한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그런 상황이 당연한 것처럼 되어버리는지 상상할 수조차 없다. 이해할 수도, 상상할 수도 없다. 전쟁이 벌어지던 바로 그때에 포화 속에 갇혔으나 운 좋게도 주변 사람들을 쓰러뜨린 죽음에서 벗어난 모든 군인들, 모든 언론인들, 모든 부역 노동자들, 독자적인 모든 관찰자들이 절절히 공감하는 바가 바로 이점이다. 그리고 ‘그들‘이 옳다.”

색칠

Apr26_2004_three.jpg

__엄마, 세상엔 왜 이렇게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이 많아?

__글쎄, 음, 이거는 어른 만화가가 그린 거 같은데…

__만화가?

__응.

__엄마, 그럼 나도 만화가가 될거야.

텔레비전에 대하여

피에르 브르디외, 현택수 옮김, <<텔레비전에 대하여 Sur La Télévision>>, 동문선, 1998 초판, 2000 2쇄

오늘 아침 일이다. 딸아이가 거실이 떠나가라 볼륨을 높여 놓고 테레비를 보고 있었다. 시끄러웠다. 나는 볼륨을 줄이라고 명령했다. 리모콘을 손에 쥐고 있던 딸아이가 볼륨을 조금 줄였다. 나는 내가 듣기에 그리 시끄럽지 않은 레벨 ─ 08 ─ 까지 줄일 것을 명령했다. 아이는 복종했다. 그러나 잠시 뿐이었다. 내가 현관문을 열고 신문을 들고 들어오는 2초도 안되는 사이에 아이는 다시 리모콘으로 볼륨을 높이고 있었다. 볼륨은 그새 레벨10을 지나고 있었고 그냥 내버려 두었으면 다시 시끄럽게 느껴질 만큼 커질 것이었다. 나는 리모콘을 빼앗아 테레비를 아예 꺼버렸다. 아이는 억울했나보다. 눈물을 글썽거렸다. 속으로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혹시 다른 집 아빠는 안 그러는데 왜 우리 아빠만…?

갈수록 테레비가 재미없다. 토론 프로그램은 원래 재미없고, 오락 프로그램은 원래 유치빤스다. 내가 좋아하는 미모의 탤런트는 어서 뭐하는지 테레비에는 도통 나오질 않는다.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니다. “저널리즘의 세계는 하나의 소우주로서 그 자신의 법칙을 갖고, 전체 세계 안에서의 위치와 다른 소우주와의 친화 · 배척 관계에 의하여 정의”된다. 제아무리 조선일보라고 해도 “논설위원이 쓸 수 있는 것과 쓸 수 없는 것”이 있고, 그때는 무슨 까닭인지 말하지 못하고 이제와서 <이제는 말할 수 있다>고 말하는 텔레비전도 있다.

왜 그런가? 이 따위 물음에 대한 답이 궁금한 사람들은 일독하면 되겠다. 워낙 대충대충 읽어서 나는 잘 모르겠는데 번역이 후지다고 한다.

먹통

핸드폰이 완전히 죽었다. 입력시켜 놓았던 모든 데이타도 완전히 날아갔다. 지금 내 머리 속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는 채 열 개가 안 된다. 거의 통신대란 수준이다. 물론 평소에 워낙 통신을 안하고 사는 처지이기는 하지만…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핸드폰 없이 지내볼까 생각중이다. 지금 떠오르는 번호는 딱 하나다. 1541 콜렉트 콜.

오늘 아침 나우의 어록

1.
엄마, 난자는 XX고 정자는 XY다.

2.
엄마, 정자는 꼬리는 자르고 얼굴만 들어간다.

3.
엄마, 엘리베이터가 동갑에 왔다.
(병원 지하 주차장에서 엘리베이터 두 대가 동시에 도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