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엄마만 좋아한다.

Mar20_2004_morning.jpg

아침이다. 나는 한가하다. 나는 토스트 먹으며 신문보고 커피 마시며 신문보다가 또 신문지 들고 어딘가로 향한다. 한 마디로 나는 나 하나만 챙기면 된다. 이만큼 컸으니 나는 혼자서도 잘 한다.

아침이다. 아내는 바쁘다. 나 토스트 만들어 줘여지, 나 커피 타줘야지, 애들 깨워야지, 애들 빵에다 꿀 발라 먹겠다면 빵에다가 꿀 발라 줘야지, 애들 빵에다 쨈 발라 먹겠다면 쨈 발라줘야지, 애들 옷 입혀 주어야지, 나우 머리 묶겠다면 머리 묶어 줘야지, 나무 머리 따겠다면 머리 따줘야지, 엽이 옷입혀 줘야지, 엽이 양말 신겨줘야지, 애들 가방 싸주어야지, 애들 유치원에 데려다 줘야지, 할 일이 하나 둘이 아니다. 아내는 바쁘다.

평소에 나는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다. 짤없다. 엄마는 안되는 것도 금방 된다. 이런 식이다.

__엄마, 나 아이스크림 먹어도 돼?
__안 돼.
__으힝. (아이들 삐진다.)
__그럼, 딱 하나만 먹어.
__네. (아이들 아이스크림 맛있게 먹는다.)

엄마가 “안 돼”에서 “딱 하나만 먹어”라고 말하는 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30초면 충분하다. 그러니 아이들은 엄마만 찾는다. 그러니 엄마는 피곤하다. 나는 짤없다.

아침마다, 아이들은 늑장이다. 그 중 TV도 한 몫한다. 이 와중에 막내는 막내대로 설쳐댄다. 오줌 싸고, VTR 틀어달라하고 아주 가관이다. 오늘 아침. 아내가 아이들의 모든 요청과 어리광과 생떼를 다 받아주다가는 이렇게 소리친다.

__니들이 이렇게 엄마말 안 들으니까 엄마가 아프지.

(그랬다. 엄마는 어제 아팠다. 하늘(에서 많이 모자라는 것)같은 남편이 와도 거들떠도 안보고 초저녁부터 잠자리에 들어서 내리잤다. 나는 맘이 짠했다.)

사태 해결을 위해서 내가 끼어든다. 나는 고작 이렇게 한다.

__니들 내일부터 아침에 TV 보지마. 알았어?
__…
__대답 안해?
__네.
__너는 왜 대답 안해? 내일부터 아침에 TV 보지마 알았어?
__네.

그러나 나는 안다. 아내는 아이들이 TV를 보겠다 하면 보라고 할 것이다. 나는 또 모르는 척 내버려 둘 것이다. 그러다가 아내가 또 힘들다 하면 아이들에게 아침에 TV 보지 말라고 소리나 지를 것이다.

흔히 부모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일관성, 거 참 좋은 말이다. 근데 그게 잘 안 된다.

Posted in 애 셋.

0 Comments

  1. 멋져요. ㅠㅠ 존경합니다. ㅠㅠ
    블로그 코리아에서 경로따라 왔답니다. ^-^

  2. ㅎㅎ 그놈의 일관성의 신화…
    이제 그런 놈의 아동심리학도 집어쳐야할 때가 되었는데…
    부모가 모두 짤 없는 일관성을 가진다면
    아이들은 조금 편하겠지만, 얼마나 심심한 인생을 살아야 할까…
    아이들은 뒤죽박죽, 엉망진창을 더 즐거워 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자신의 이익이 훼손받지 않는 한계라는 문제가 있지만,
    뭐 그것에도 적응하겠지요…
    아이들은 어른 머리 꼭지에 있다니까요…
    모르지요 학교에 가서
    우리 엄마 아빤 그래서 문제야…라고 다닐지도…

  3. 제 어머니는 정말 짤 없는 일관성으로 절 키우셨습니다. 일관성과 합리성 그 자체였죠. 문제는 세상이 제 어머니 만큼 합리적이지 않았다는 거죠. 특히, 학교가 말입니다.

    중학교 때 였습니다. 옆 분단에 앉은 어떤 녀석이 시간을 물어보더군요. 가르쳐주었습니다. 선생님이 “야, 거기 두 놈 나와!” 하더군요. 나갔습니다. “뭐했어?”하고 물으시길래 제가 대답했습니다. “쟤가 몇 시냐고 물어봐서 제가 몇 시인지 가르쳐 주었습니다.” “뭐라고. 뭐 이런 호로자식 놈들이 다 있어.” 하시더니 마주 보고 서서 서로 따귀를 때리라고 하시더군요. 저는 속으로 ‘아, 이건 울 엄마가 가르쳐 준 거 하고는 다르다.’하면서 조심스럽게 대답했습니다. “못 때리겠는데요.” 선생님이 꼭지가 도셨습니다. “뭐라고? 못 때려? 이놈봐라. 이 악물어.” 그리고 따귀를 엄청 맞았습니다. 그게 제 생에 최초로 맞은 따귀입니다. 아직까지 분합니다. 그 선생님 이름 지금도 기억하고 있지요. 길 가다가 만나면 아직도 따지고 싶습니다. 더 솔직히 말씀드리면 아직도 욕 나옵니다.

    수업시간에 옆에 있는 친구가 시간을 물어볼 때 저는 도대체 어떻게 처신했어야 하는 걸까요?

  4. 아직도 분한 어린 시절의 사건들이 저도 많습니다.
    나의 일관성과 세상의 일관성이 부딪히는…

    저는 서로 따귀를 때리라는 선생을 만난 적이 없지만,
    저라도 시간을 가르쳐 줬을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선생들로부터 횡액을 당하고 나면,
    세상과 나를 일찌감치 분리해서 제 속으로 들어가 버렸던 것 같습니다.
    세상은 나와 다르구나 썅…나 혼자 살래…
    밥먹고 살자니 그게 또 안되니 그런 post 따귀들이
    귀타귀처럼 들러붙는게 인생살이…
    그러면서 조금은 달라집니다.
    그러나 본질이 달라진 것이 아니라
    대응하는 태도가 좀 달라진 것일 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조금 덜 분노한다는…조금은 이해가 간다는…연민이 간다는…
    가끔은 웃어 줄 수 있다는…
    그래도 여전히 아닌 건 아닌 걸로 남아있네요….
    (거시기가 한 때 잘 불렀던 이오공감의 가사도 생각나고…
    아닌 건 아니지…어쩌고 하는)

    그래도 가르쳐 주는 것이 맞고
    선생에게 불복하는 것이 맞는 것이겠죠.
    잘못된 권력과 부딪히는 것이니까요…

    따위학동의 따귀사건…
    곱씹을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으로선 태초의 사건이라는 생각이 드니…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