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어느 날의 일기

“문 밖에 오아시스가 와 있대.”

침대에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던 아내가 말했다.
나는 아내의 말이 뭔가 시적이라는 생각을 한다.

주문만 하면 다음날 아침에 문 밖에

오아시스가 득달같이 당도하는 사하라의 세계.

오아시스.

새로운 말을 만들 게 아니라 있는 말을 재활용하는 게 브랜드 네이밍이다. 카카오가 그렇고 멜론이 그렇고 당근이 그렇고 오아시스가 그렇다, 는 생각을 덧붙여 하는데 아내가 묻는다.

“김치찌개라도 끓여드려요?”

내가 반문한다.

“고기가 있어요?”

아내가 대답한다.

“돼지고기 샀지. 오아시스에서. 찌개용.”

도스토옙스키의 ‘지하로부터의 수기’에는 지하에 대한 묘사가 없다.

2023 가을 자화상

아이패드를 식탁 한 쪽에 거치해 두고 저녁을 먹는다. 아내는 어디 갔고, 딸은 나가 살고, 원-아들은 알바 갔고, 투-아들은 군대 갔다. (쓰다 보니 원-아들은 퍼스트-아들, 투-아들은 세컨드-아들로 써야한다 싶지만 그게 뭐 대수냐 싶다.) 혼자 가는 먼 길, 인생이니 혼자 가는 먹는 저녁이 뭐 대수냐 싶다.

저녁을 먹다보니 반주라도 한잔 하고 싶은데 무슨 놈의 집구석에 소주 한 병이 없다. 원-아들이 얼마 전 일본 다녀오며 사다 준 위스키가 저기 있지만 생-냉동-해동-삼겹살과는 격이 맞지 않는다. 그냥 먹는다.

아이패드에서는 이상한 영화를 하고 있다. 심각한 주제를 코믹하게 보여준다. 웃기는데 웃기지 않는다. 딴 거 볼까 하다가 그냥 본다. 봐도 그만 못봐도 그만이니 흐름을 놓칠 염려도 없고 시작했으니 끝까지 봐야한다는 생각도 없다.

문득 아이패드 화면에 내 얼굴이 보인다. 젊은 날의 에센스라든가 에스프리라든가 하는 거는 다 휘발하고 없는, 빈 얼굴이다. 역시 소주가 있어야 했다.

소파에 지다

책 읽다가 존다. 졸다 아예 눕는다. 읽던 책으로 얼굴을 덮어 빛을 차단한다. 세상 아늑하다. 까라지는 것도 같다. 내 잠든 머리 속에 단어들이 떠오르기 시작한다. 마굿간에서 시작해 외양간, 방아간, 똥뚜깐, 푸줏간까지 온다. 헛간과 곳간과 절간과 뒷간도 오는 걸 애써 물리친다. 짐칸, 기차칸, 침대칸, 식당칸 따위가 다음 차례다. 간이나 칸이나 깐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무의미하게 나열하다가 맞춤법을 교정하기도 전에 돌연 우주가 쫑난다. 하, 이게 아닌데…

모모에게

넓은 책상을 좁게 쓰는 방법은 책상에 온갖 걸 다 늘어놓고 쓰는 것이다. 내가 그렇게 쓰고 있다. 그리하여 진부하게도 책상에 송곳 하나 꽂을 자리가 없다.

어찌해야 하는가. 간단하다. 책상 위에 있는 온갖 잡동사니를 싹 다 치우면 된다. 문제는 버릴 게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아, 있기는 있다. 바나나 껍질.

그러나 어림 한 티스푼 없는 소리다. 바나나 껍질 하나 치운다고 이 넓으나 비좁은, 그러니까 내 고매하고 더티한 인품 같은,  이 내 책상에 삼공 노트 누일 자리가 생기겠는가!

나는 어쩔 수 없는 세마이-호더(semi-hoarder)인 것이다. 책상을 책상으로 쓰지 아니하고 창고로 쓰고 있기 때문에 내가 대문호가 못 된 것이다.

돌이켜 보면 내 영혼의 책상은 늘 비좁았으며, 그 비좁은 책상에 이것, 저것, 그것이 다 있었다. 그리하여 나는 평생을 이거 하다가 저거 하고 저거 하다가 그거 하고 그거 하다가 디스 하고 디스 하다가 댓 하고 댓 하다가 썸싱하고 썸싱하다가 결과적으로 나씽하며 살았다.

사람도 그러해서 평생 노원을 만났다. 발치에 와 발라당 눕고 눕는 고양이 ‘모모’만 남았다. 이제 죽을 때가 다 돼 간다.

부스러기

산책길에는 부스러기가 많다

바퀴 부스러기
햇살 부스러기
까치 부스러기
그림자 부스러기
슬픔 부스러기
비명 부스러기
고양이 부스러기
노인 부스러기
파킨슨 부스러기
바람 부스러기
길 부스러기
외로움 부스러기

나는 이런저런 부스러기를 모아
서사를 읽는다

나는 오래 걷는다

뒷짐지고 걷고 싶은데
뒷짐지고 걷고 싶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