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다리 네 개 연구소

꿈에 닭은 다리가 특히 인기가 좋으니 다리 넷 달린 닭을 개발하면 대박이겠다 싶었다. 별 꿈을 다 꾼다. 저녁 식탁에서 아이들에게 앞으로 나를 닭다리네개연구소 소장님이라고 부르라고 요구했다. “雨야, 앞으로 자기 소개 할 일 있거든 이렇게 해라. ‘안녕하세요. 저는 따위초등학교 3학년 2반 雨입니다. 저희 아빠는 닭다리네개연구소 소장님으로서 다리 넷 달린 닭을 개발하시느라 불철주야 노력하고 계십니다. 아빠가 개발에 성공하시면 여러분들께도 닭다리 많이 드리겠습니다.'”

한편, 소장이 뭔지 사장이 뭔지 잘 모르는 아들 녀석은 나를 자꾸 닭다리네개연구소 사장님이라고 불렀다. 아내는 이건 우리 가족만의 비밀이며 밖에 나가서 이런 소리하면 집안 망신이니 절대 그러지 말라고 아이들에게 입단속을 시켰다.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지음), 우석균(옮김),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민음사, 2004(1편 1쇄), 2006(1편 8쇄)

네루다의 시집을 탐독한 마리오가 메타포를 무기로 동네 처녀 베아트리스를 꼬셨다. 이러하다. “그가 말하기를 제 미소가 얼굴에 나비처럼 번진대요.” 마리오는 또 이런 말도 했다. “그대 머리카락을 낱낱이 세어 하나하나 예찬하자면 시간이 모자라겠구려.” 하는 수작이 뻔하나 베아트리스는 마리오에게 넘어갔다. “마리오가 해준 말은 허공에서 사라지지 않았어요. 저는 외우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할 때도 그 생각을 할 거예요.”

과년한 처녀를 둔 과부는 기가 막히다. “더 이상 말할 것 없어. 우리는 아주 위험한 상황과 맞닥뜨렸어. 처음에 말로 집적대는 남자들은 다들 나중에 손으로 한술 더 뜨는 법이야.” 그러고는 딸에게 당장 가방을 싸란다. 잠시 떠나 있으라는 것이다. 베아트리스는 “악다구니를 썼다.”

“‘기막혀! 남자애 하나가 내 미소가 얼굴에서 나비처럼 날개짓한다 그랬다고 산티아고에 가야 되다니.’
과부 역시 열을 올렸다.
‘닭대가리 같으니! 지금은 네 미소가 한 마리 나비겠지. 하지만 내일은 네 젖통이 어루만지고 싶은 두 마리 비둘기가 될 거고, 네 젖꼭지는 물오른 머루 두 알, 혀는 신들의 포근한 양탄자, 엉덩짝은 범선 돛, 그리고 지금 네 사타구니 사이에 모락모락 연기를 피우는 고것은 사내들의 그 잘난 쇠몽둥이를 달구는 흑옥 화로가 될걸! 퍼질러 잠이나 자!'” 대단한 과부다.

아이들에게 오늘의 은유를 가르칠 때 교과서로 삼기에 딱 좋은 책인데 내용이 야해서 저어된다. 그밖에 영화 <일 포스티노>의 원작이라는 것, 영화와 책의 내용이 조금 다르다는 것, 경쾌하게 읽히나 내용은 짠하다는 것, 영화를 다시 보고 싶어졌다는 것을 적어 둔다.

메모장이 낫다

요즘에는 아래아hwp.exe를 사용할 때마다 한국이 영어의 식민지라는 것을 느낀다.
내 의지나 의도와는 무관하게 저 스스로 영타로 전환한다.
아래아 프로그램은 좋게 보면 bilingual이고
나쁘게 보면 온전한 제 언어를 , 따라서 제 세계를 가지지 못한 정신분열증 환자 같다.
불편해도 메모장notepad.exe이 (이 부분에 당신의 구미에 맞는 강조부사를 넣어 읽으시압!) 낫다.
내가 온전한 언어와 세계를 가졌다는 뜻이 아니다.
그렇지 않아도 분열된 내 언어와 세계가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더 비참해져 간다는 뜻이다.
꼭 만년필이 아니어도 좋다. 손으로 쓰자.

(손으로 쓰자
고 타이핑 해야 하는 이 역설이
“날 더욱 비참하게 해”!)

그렇게 살기

몇 년 전:
“나 같으면 그렇게 못살아.”
소주잔을 사이에 두고 마주앉은 그가 나를 두고 그에게 이렇게 말했었다고 나에게 말했다.

몇 달 전:
“지금까지 그렇게 살았어?”
전화기 너머에서 그가 이렇게 말했다.

며칠 전:
“너 앞으로도 별일 없으면 30~40년은 더 살텐데 계속 그렇게 살래?”
코로나를 홀짝거리는 내 앞에서 나는 듣도 보도 못한 생소한 이름의 차를 주문해 마시던 그가 이렇게 말했다.

(여기에 등장하는 ‘그he/she’들은 모두 다른 인물이다.)

캠퍼스 스텔라

내가 공지영의 <<별들의 들판>>을 읽어보아야겠다고 생각한 건 순전히 제목 때문이다. 어느 책에서 ‘캠퍼스 스텔라’라는 말을 보았는데, 그것이 별들의 들판이라는 뜻이었다. 스텔라가 별인 건 이미 알고 있었고 캠퍼스라는 말에 들판이라는 뜻이 있는지는 그 때 처음 알았다. 동명의 소설이 캠퍼스 스텔라와 무슨 관계가 있는지 궁금했다. 저런 지명을 가진 곳이 실제로 있을까?

저 소설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한 두 번째 계기는 우리동네에 있는 벌판 때문이다. 지난 겨우 내 나는 아침마다 안개가 자욱한 벌판 옆을 차로 지나다녔는데 그 때마다 무의식적으로 캠퍼스 스텔라를 떠올렸던 것이다. <별들의 들판이라. 포에틱하군. 별들의 들판에도 새벽마다 서리가 내리고 안개도 자욱할까. 공지영은 뭐라고 썼을까.> 그러면서도 차일피일 미루어 몇 달이 훌쩍 지나갔다.

어제 교보문고에 갔다가 마침 저 책이 눈에 들어오길래 쭈그리고 앉아 읽었다. 책 한 권을 다 읽은 건 아니고 저 제목의 소설만 읽었다. 연작소설집이어서 다행이라면 다행이었다. 소설 얘기를 하자면 할 말이 없는 건 아니나 생략하기로 하고 여기에는 별들의 들판이 스페인에 있는 도시의 이름이었다는 것만 적어 둔다. 책에는 “싼띠아고 데 꼼뽀스뗄라”라고 적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