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록

무슨 책에 보니 주인공이 원하는 행복이란 게 고작 밥 지을 때 남편이 뒤에 와서 살짝 안아주고 그러는 거라길래 거 뭐 어렵나 싶어 실천에 옮기려 하다가 쿠사리만 먹었다. “나는 말이야, 빨래 좀 걷어서 개주고 그러는 게 행복이야!”라나 뭐라나. 오늘 백주대낮에도 시커먼 행복이 엄동설한에 스치운다.

루저loser를 위한, 그제의 문장 비밀의 도서관

랄프 리자우 지음, 한미희 옮김, <<비밀의 도서관>>, 비룡소, 2006

“그[칼 콘라트 코레안더]는 지금까지 의미 있는 일을 제대로 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지금 그런 일을 할 이유는 없었다.”

**
(중간에 포기하고 집어 던질까 하다가 인내심을 갖고 더 읽어 보기로 했다.)

칼이 저리 된 데는 아버지의 공이 크다.

“하지만 칼은 노는 것을 너무나 좋아하는 아이였다. 진짜 놀러간 적은 거의 없었지만 말이다. 그는 계속해서 일을 다른 식으로 했다. 오늘은 포크들을 이 서랍에 넣었다가 내일은 저 서랍에 넣었다. 또 끊임없이 새로운 일을 해 보았다. 부억 창문에 수채화를 그리기도 하고, 거실에 있는 가구의 위치를 바꾸어 놓기도 했다. 하지만 아버지는 창의력이 있다고 칭찬하기는커녕, 벌컥 화를 내기 일쑤였다. 칼은 서서히 높은 담을 쌓고 자신의 그런 면은 마음속에 꼭꼭 감추게 되었다. 그는 시간이 날 때마다 책 뒤로 숨었다. 하지만 아버지는 그것도 꼴 보기 싫어했다.” pp. 186-87

***
칼은 이제 “구름 성의 왕”을 만나러갈 참이다. 그 왕은 이런 존재다.

“아,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네. 가벼운 것에 열광하는 남자가 있어요. 그는 묵직한 것은 뭐든지 싫어하고, 스쳐 지나가는 것돠 덧없는 것들을 수집한다고 하더군요. 어쩌면 그가 공백의 정체를 알지도 몰라요.” pp.207-8

****
“공백의 정체”는 무엇일까? 답을 얻으려면 독서를 계속해야 한다.

*****
지나는 길에 벤야민의 ‘아우라’를 연상시키는 구절을 만났다.

일행은 공기 요정의 키에 맞추어 설치된 낮은 받침대 위로 몸을 숙였다. 모두 눈이 휘둥그레졌다. 두 배로 큰 악어의 눈물이 주변의 모습을 단순히 비추는 것이 아니라, 그 모습을 한참 붙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눈물에 ‘붙잡힌’ 상들은 잠시 후 스르르 다시 풀어졌다. 눈물이 주변의 모습을 비추고, 그 상이 잠깐 얼어붙은 듯 그대로 있는 것이었다.
칼은 악어의 눈뭉레 비친 자신의 모습을 감탄해서 바라보다가 무심코 이렇게 말했다.
“바깥세상에도 이런 것이 있어요. 우리는 그걸 사진이라고 부르지요.”
그러자 왕이 깜짝 놀라서 나직하게 소리쳤다.
“순간을 붙잡을 수 있다고? 그 순간의 분위기도 다 같이 말이오?”
칼은 또 실수했다고 생각하고 입술을 깨물었다.
“그럴 줄 알았소.” p.245

******
“공백의 문제”는 해결 되었고, 그 과정에서 신나는 모험이 있었다. 아내가 나우에게 사준 책을, 아이가 무슨 책을 읽는지 알고 싶다는 이유로 집어 들었다가 곤욕을 치렀다. “환상 세계’는 너무 환상적이라 적응하기가 힘들다.

*******
지은이는 이 책을 <<모모>>를 쓴 미하엘 엔데에게 헌정했다. 이 책은 “하지만 그것은 다른 이야기로 언제 기회가 되면 다시 이야기하겠다”로 끝난다. 이 책에는 “하지만 완전히 다른 식으로 할 수도 있다”는 문장이 너댓 번 나온다.

소묘

부엌 창문 너머로, 스쿨(에서 아파트 단지까지 아이들을 실어오는) 버스에서 내린 아이들이 걸어오는 게 보인다. 우와 엽이가 걸어 온다. 둘이는 장난을 치는 듯도 하고, 무슨 얘기를 하는 듯도 하다. 다정한 오누이다. 단지 내 찻길을 횡단 할 때쯤이다. 위험하니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을까 우가 엽의 손을 챙겨잡는다. 둘이는 그렇게 손을 꼭 붙잡고 길을 건너 시야에서 사라진다. 곧 아이들이 현관문을 열고 내 고요한 시간 속으로 쳐들어 올 것이다. 저 녀석들은 지네 아빠가 가끔 학교에서 돌아오는 자신들의 모습을 내려다 보고 있었음을 언젠가 깨닫게 될까.

별명

“묘하게도 마르크스가 어떤 사람의 이름을 제대로 부르는 것은 그 사람을 경멸한다는 분명한 표시였다.”(p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