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도 문제고 question도 문제고 matter도 문제고 affair도 문제다
이렇게 되면 어떤 문제가 어떤 문제인지 알 수가 없다.
해결책이 안 보인다. 문제다.
오늘의 은유
글쎄다. 잘 하는 짓인지 모르겠다.
잠자리에 누운 아이들 곁에 가 누우면 아이들이 이런다.
“아빠, 또 오늘의 은유 하려고 그러죠? 주제가 뭐예요?”
나는 책이니, 아침이니, 엄마 젖가슴이니 하는 주제들을 불러준다.
아이들은 알고 하는 건지 모르고 하는 건지 한 마디씩 떠든다.
나는 합격, 불합격으로 아이들의 오늘의 은유를 평가한다.
아이들의 수준은 이렇다.
“엄마 젖가슴은 찐빵이다.”
“책은 우주다.”
“백운대는 바늘이다.”
아이들을 재워 놓고 서울대 출판부에서 나온 <<은유>>를 꺼내 읽는다.
마음에 드는 구절이 있어 옮겨 적는다.
“중세기의 기독교 사회에 있어 기본적인 은유는 세상은 神이 著述한 책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어떤 책과 마찬가지로 이 책도 표면적으로 ‘말한 것’보다는 더 많은 것을 ‘뜻’할 수 있었고 또 했던 것이다.”
글쎄다. 옛날 말로 호적대장에 잉크도 안 마른 놈들을 상대로 오늘의 은유라니.
이게 뭐하는 짓인지 모르겠다.
혹자는 아이들 참 엽기적으로 키운다 할 지도 모르겠다.
애비가 엽기적이니 할 수 없다.
같은 책의 앞머리에 이런 구절이 있다.
“比喩言語(figurative language)란 그 언어가 서술하는 바를 의미하지 않는 언어이다.”
나는 무엇을 의미하고 싶었던 것일까.
오늘 밤에도 의미가 바람에 스치운다.
사진과 금기
엽이가 언이의 사진을 오렸다고 우가 와서 일렀다. 과연 그랬다. 나는 사진은 오리는 거 아니라고 말해 주었다. 언이는 자기가 오리라고 그랬다고, 그러니 괜찮다고 말했다. 나는 어/쨌/든/ 사진은 오리는 거 아니라고, 다시는 오리지 말라고 말했다. 나는 왜 사진은 오리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을까?
엽이가 오려놓은 언이의 사진을 본 아내가 누가 그랬느냐고 물었다. 자초지종을 말해 주었다. 부부간의 대화를 들었는지 컴퓨터를 하고 있던 언이가 쪼르르 달려나와 자기가 오리라고 그랬다고, 그러니 괜찮다고 말했다. 그러더니 자기도 사진을 오려도 되냐고 물었다. 나는 안 된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나는 왜 사진은 오리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을까?
언이는 방문을 닫고 들어 갔다. 나는 녀석이 삐졌나보다고 단순하게 생각했다. 얼마 후, 언이가 손을 등뒤로 감춘 채 나왔다. 손에는 사진에서 오려낸 제 모습이 들려 있었다. 녀석의 얼굴에는 득의가 양양했다. 나는 두 번 다시 오리면 안 된다고, 한 번만 더 오리면 아주 혼내 주겠다고 말했다. 나는 왜 사진은 오리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을까?
나?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사진에, 따라서 그 기억에, 따라서 내 정체성에 길길이 방화한 적은 있어도 사진을 오린 적은 없다. 그래서 그게 뭐 어쨌다는 건가?
금기가 없는 아이들이 무섭고 부럽다.
따위 자전거포
찾아가지 않으면 반출하겠다는 공고와 함께 자전거들이 수위실 옆에 며칠 동안 진열되어 있다. 사지육신이 멀쩡한 놈은 거의 없다. 자전거라면 워낙 사족을 못 쓰는 지라 수위 아저씨께 말씀 드리고 개중에 쓸만해 보이는 놈을 골라 들여와 수리를 시작했다. 멍키 스패너로 눈에 보이는 모든 너트를 풀어 자전거를 완전히 해체하고, 걸레를 빨아가며 먼지와 기름때를 닦아 냈다. 자전거포에 가서 부품을 무려 2000원 어치나 사서 튜브에 끼우고 쭈글쭈글한 바퀴에 바람을 넣고, 다시 가조립을 해보았다. 진단 결과, 느슨해진 체인을 팽팽하게 당기고 브레이크만 손보면 아쉬운 대로 탈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기름칠─WD40이라는 훌륭한 제품이 있다─은 해야지. 욕심 같아서는 도색도 새로 하고 싶지만 그건 일이 너무 커질 것 같아 꾹 참아야 할 것 같다. 오늘 밤에도 자전거가 바람에 스치운다.
나오느니 한숨이로다.
황야의 마녀의 마술에 걸려 한 순간에 팍 늙어버린 소피는 여차저차 해서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입성했다. 그곳에는 꽃미남 하울과 그의 똘만이 마르크가 살고 있었다. 소피와 하울과 마르크가 함께 하는 아침 식사 시간, 마르크가 제대로 된 아침은 정말 오랜만이라며 게걸스럽게 먹는다. 그 모습을 본 소피는 이렇게 중얼 거린다. “가르쳐야 할 것이 많겠어.”
아이들이 갑자기 윷놀이를 하겠다고 설치더니 내게 기본적인 규칙을 물어본 다음 곧장 본 경기에 돌입했다. 그러거나 말거나 관여하지 않고 나 할 일 하고 있다가 잠시 뒤돌아 보니─ 그렇다. 그들은 내 침대에서 놀고 있다. 시끄러 죽겠다. ─ 말을 놓는 게 영 엉망이다. 윷놀이의 묘미는 업고 가는 것인데, 아이들은 그냥 하나 씩 하나 씩 나오는 대로 정직하게 움직이고 있다. 저래가지고 대저 어느 세월에 경기가 끝나겠는가. 정말 가르쳐야 할 것도 많다.
그밖에도 가르쳐야 할 기본적인 아이템을 열거해 본다. 원카드, 하이로, 세븐오디, 훌라, 고스톱, 육백, 뻥, 섰다, 운수 떼기, 바둑, 오목, 장기, 체스, 다이아몬드 게임, 오델로, 풍선껌 불기, 휘파람 불기, 지뢰찾기, 3X3X3 큐브 맞추기 등등. 이 많은 걸 다 전수해 주려니 나오느니 한숨뿐이로다. 오늘 밤에도 한숨이 바람에 스치운다.
p.s.
여기서 따위넷 3주년 기념 막간 퀴즈 하나: 위에 열거된 온갖 잡기들 가운데 따위와 가장 어울리지 않으며, 동시에 그가 할 줄 모르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