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 선 시간 속으로

졸다가 화들짝 눈을 뜨니 낯 선 거리 낯 선 가로등 낯 선 표지판 낯 선 이정표 낯 선 시간 낯 선 밤 낯 선 어둠 낯 선 위도 낯 선 경도 낯 선 지도 낯 선 주파수 낯 선 URL……

이 밤을 건너도 내 쉴곳 은 아니오. 그러니 나는 또 낯 선 꿈에 들어야지. 낯 선 나여. 아침에 보자.

아름다움을 훔치다

김수남 글/사진, <<아름다움을 훔치다>>, 디새집, 2004

내 청년시절에 “징막회”가 있었다. 신경림의 시 <농무>의 첫구절 “징이 울린다 막이 내린다”에서 “징”자와 “막”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이름도 거창한 이 징막회가 뭐하는 모임이었느냐 술 먹는 모임이었다.

어떻게 보면 산다는 건 판을 벌이는 일일 것이다. 그게 무슨 판이든. 이땅의 많은 어미가 시장에 좌판을 벌여 자식들을 키웠고 이땅의 많은 아비가 도박판에서 가산을 탕진했다. 내가 고등학교 여름방학 때 친구집에 모여 점에 10원으로 치던 고스톱판도 판은 판이다.

그러나 내가 징막회라는 이름으로 벌였던 술판이나 친구들과 벌였던 고스톱판은 판도 아니다. 저런 거 가지고 어디가서 판 벌였다고 말 하면 욕 먹기 딱 좋다. 판을 모독하는 발언인 것이다. 여기 진짜 판을 벌인 사람들이 있다. 가령 “1929년(스물네 살) [……]이때부터 집안일을 부인에게 맡긴 채 씨름판, 윷판, 소싸움판, 장기판, 투전판 등 놀이판을 찾아서 유랑생활을 했다.” 는 춤꾼 하보경 같은 이가 그렇다.

사진작가 김수남은 수십년 동안 이땅의 굿판과 춤판을 따라다니며 사람들과 어울리고 사진을 찍었다. 어떤 판인가? 차례를 보자.

제주 큰 심방 안사인, 그 몸을 통과하는 제주의 신들
1인 창무극의 공옥진, 인간의 껍질을 벗겨버리는 통증
한말 최후의 광대 이동안, 집시의 피
서해안 배연신굿의 김금화, 가슴속의 화로
동편제와 서편제를 아우르던 소리꾼 김소희, 조용한 통곡
도살풀이의 명무 김숙자, 토굴 속의 빛
범패와 영산재의 박송암, 극락을 향하는 소리
동해안굿의 신석남, 영혼을 부르는 하늬바람
승무의 한영숙, 허공을 사르는 곡선
가양금 산조의 명인 성금연, 진주처럼 모아놓은 눈물,
밀양 양반춤의 하보경, 사내 몸에 든 멋

모두 흑백 사진들이다. 어두운 계조와 강한 콘트라스트, 광각의 로우 앵글과 거친 입자들. 먹먹하고 아름답다. 프레임 가득 거친 바닷바람이 불고, 프레임 가득 통곡소리가 들리고, 프레임 가득 신명이 나고, 프레임 가득 고고하다.

내 인생은 무슨 판을 벌여야 하나? 요즘은 진짜 술판도 잘 안벌어지는데……

애 셋 아빠의 일요일

일요일 낮, 싸모님은 간밤에 뭐하셨는지
늘어지게 낮잠 한잠을 거하게 주무시는데
아이들은 피터팬인지 후라이팬인지 DVD 보면서
배고프다고 고래고래 소리를 치고
할 수 없이 라면을 끓였겠다

물이 끓는구나 물이 끓어
라면 두 개 넣고 스프 찢어 넣고
파 숭숭 쓸어넣고 계란 하나 깨넣고
아빠 사랑 넣고 아빠 정성 넣고
맛있게 라면을 끓였겠다

드디어 라면이 끓는구나아아아
행주 빨아 식탁 닦고
냉장고 뒤져 다꽝 덜고
숟갈통 뒤져 젓가락 놓고
차단스 뒤져 그릇놓고
식탁에 불켜고
얘들아 라면 먹자아아아아아

이 소리에 피터팬인지 후라이팬인지 보던 아이들이
흥부네 자식새끼덜 모양 우르르르르르 달려오는데
아빠 라면 주세요 아빠 라면 주세요
나두 나두 나두
오 구래 구래 구래 내 새끼들 많이 먹어
아빠 아빠 매워 매뭐 매워
물 주세요 물이요
나두 나두 나두
오 구래 구래 구래 이 라면이 좀 맵다 매워 물 줄게 물

이렇게 근본 없이 촐싹대고
무게 없이 깝죽대고
앞뒤 없이 서두르다가
그만 식탁에 물을 한 주전자 엎었구나아아아

이때,
나우가 한 마디 하는데
“우하하하, 아빠도 물 엎지르는 구나, 그래도 아빤 벌 서지 않아도 돼. 우리 라면 끓여줬으니까.”

그러자
옆에 있던 기엽이도 거드는구나.
“그래 맞아. 그래도 아빠, 다음부턴 조심해.”

어화둥둥 망신이로세
얼씨구나 망신이로세
절씨구나 망신이로세
지화자아 망신이로세

얼쑤

애 셋 아빠 스타일 왕창 구겼구나
애 셋 아빠 체면이 말이 아니로구나
애 셋 아빠 귄위가 땅에 떨어졌구나아아아아아

얼쑤

나는 장난감이다

영화 <토이스토리1>:
자신이 지구방위사령부 소속 우주전사라고 철썩 같이 믿고 있던 우리의 버즈는 어느 날 우연히 텔레비전을 보고 자신이 고작 장난감에 불과한 장난감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자신을 까마귀라고 알고 있었던 까마귀가 알고 보니 백조였어도 시원치 않을 마당에 이럴 수가! 차마 믿을 수도 없고 인정할 수도 없어서 버즈는 날개를 펴고 날아보기로 한다. 그는 2층 앤디의 방문 앞에서 저 앞에 보이는 창문을 향해 날개를 펴고 두 팔을 쭉 뻗어 주문을 외치며 날아오른다. 이렇게!
지상을 넘어 영원으로! To Infinite and Beyond!

ToyStory01.jpg

조금 전 저기 <화면>에 보이는 조그만 창문 밖 파란 하늘로 날개 달린 새 한 마리가 날아갔다. 그 새의 흔적이 아직 저기 남아 있다. 버즈가 우주전사라면 지상을 박차고 창문을 통해 밖으로 나가 방금 전에 날아간 새처럼 저 푸른 하늘로 날아오를 수 있을 것이고, 보잘 것 없는 장난감에 불과하다면 중력의 명을 받고 추락할 것이다. 결과는 예상대로 슬프다.






다.

그렇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추락하는 국보법도 날개가 있다.) 관객인 우리는 그의 몸짓이 사실은 무모한 투신에 불과 하다는 걸 이미 알고 있다. 세상에는 당사자만 모르는, 나머지 사람들은 다 아는 그런 진실이 있는 법이다. 객기 한 번 부린 대가로 그는 한쪽 팔이 뚝 떨어져 나가는 전치36주의 중상을 입는다. 자신이 장난감이라는 걸 알았으면 그냥 장난감으로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그걸 꼭 확인해야 직성이 풀리는 건 인간이나 장난감이나 마찬가지다. 예정된 수순대로 그는 절망한다. 절망한 자들이 그러하듯이 그는 또 예정된 수순대로 한동안 자포자기의 삶을 산다. 만화영화가 늘 그러하듯이 그는 또 예정된 수순대로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인정한다.

나는 장난감이다.

그러니 세상이여, 날 가지고 마음껏 장난쳐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