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부재하는 동안 아이들을 집중적으로 케어합니다. 큰 아이 ‘우’는 컴퓨터를 합니다. 야후! 꾸러기 > 전래동화 > 떡보 만세를 봅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당나라 사신이 떡보에게 “네가 삼강을 아느냐?”하며 손가락 세 개를 펼쳐보이자, 마침 사신을 만나러 가기 전에 떡을 다섯 개나 먹은 우리의 용사 떡보는 ‘내가 떡 다섯 개 먹었다. 어쩔래?’ 하는 의미로 손가락 다섯 개를 펼쳐보입니다. 멍청한 당나라 사신은 ‘아, 저 놈이 삼강은 물론이고 오륜도 안다는 구나. 거 똑똑한 놈이로세.’하고 이해합니다. 네, 떡보는 저 방법으로 나라를 구합니다.
둘째 아이 ‘엽’은 ‘어깨 너머’ 전문 선수입니다. 아니 꼽지만 꾹 참고 제 누나가 야후! 꾸러기 하는 걸 지켜봅니다. 그러다가 ‘아 참, 내가 이럴 때가 아니지’ 했는지 책을 가져와 읽어 달라 합니다. 제목은 ‘동물의 생활’입니다. 이 책 좀 웃깁니다. 첫 페이지부터 대뜸 한다는 소리가 ‘모든 동물이 살아가는 목적은 새끼를 낳기 위해서예요.’입니다. 나는 내가 살아가는 목적을 알려준 책에게 무한한 고마움을 느끼며, 새끼를 더 낳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엽’이는 우리의 용사 떡보가 당나라 사신을 무찌르는 모니터를 보랴, ‘동물의 생활’ 들으랴 바쁩니다. 곧 ‘모니터’가 우세승을 거둡니다. 나는 동물의 성생활 읽기를 슬그머니 멈추고 내 책을 읽습니다. ‘엽’이는 잠시 후 다시 ‘아참, 내가 이럴 때가 아니지.’ 하더니 가서 다른 책을 가져옵니다. 이번에는 ‘물고기의 생활’입니다. 도대체 왜 동물도 생활을 하고 물고기도 생활을 하는 걸까요?
셋째 ‘언’이는 다행히 젖병하나 꿰차고 잠들었습니다. 이 상태로 한 시간 정도 지납니다.
마침내 ‘우’가 주무시겠답니다. ‘거, 불감청이지만 고소원이로세.’ 나는 속으로 뛸뜻이 기뻐하며, 그러나 겉으로 내색은 하지 않은 채 ‘우’를 재우러 들어갑니다. 그동안 ‘엽’이는 레고를 하거나 공룡을 그리거나 할 겁니다.
하여, 막 잠자리에 들었을 때 아내가 돌아옵니다. 아내가 돌아오는 소리에 아이들은 어느 시인이 좋아하는 표현으로 ‘자동화사격장의 표적지’처럼 벌떡 일어나 뛰어나갑니다. 네, 엄마 맞습니다. 엄마가 왔습니다.
엄마를 본 ‘우’가 제게 이렇게 말합니다.
“됐어. 아빠. 이제 아빠는 가도 돼.”